반응형
GPT-5: GPT-4의 종말, GPT-5의 시대
OpenAI는 2025년 8월 7일, 수많은 세분화된 모델(GPT-4, GPT-4o, GPT-4.5, o3, Mini 등)을 통합한 GPT-5를 공식 출시했다. 이 모델은 질문의 복잡도에 따라 자동으로 적절한 추론 모델을 선택하는 ‘모델 라우터’를 갖추고 있어, 사용자는 더 이상 모델을 직접 고를 필요가 없다.
주요 개선점 (추가 최신 반영)
- 멀티모달 및 컨텍스트 확장
GPT-5는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, 오디오, 영상까지 처리 가능한 멀티모달 기능을 갖췄으며, 컨텍스트 창도 최대 100만 토큰까지 확장됐다. - 퍼스널라이제이션 및 외부 연동
‘Auto’, ‘Fast’, ‘Thinking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, 사용자의 음성 톤, UI 테마, 성격 설정(예: “Cynic”, “Listener”) 등 개인화 요소도 강화됐다. Gmail, Google Calendar 연동 등 외부 서비스와의 통합 기능도 포함됐다. - 코딩 역량 강화
프론트엔드 UI 생성, 복잡한 리포지토리 디버깅, 깔끔한 코드 생성 능력이 이전보다 크게 향상됐다. - 가격경쟁력 및 접근성
무료 사용자도 GPT-5의 기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, Pro 사용자는 더 높은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. API 사용 요금 또한 경쟁력 있는 수준으로 책정됐다. - 안전성 제고 노력
단순 거절 대신 “Safe Completions”로 민감 요청에 대해 설명과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. - GitHub Copilot 지원 확대
GPT-5 Mini가 public preview로 GitHub Copilot에 도입되어, 효율적인 코딩 도우미 역할을 수행 중이다.
사용자 반응과 현장 이슈
GPT-5는 기술적으로 진보했지만, 사용자 반응은 극히 엇갈리고 있다.
- 강한 불만
Reddit에는 “GPT-5는 다운그레이드 같다”는 표현이 줄을 이었고, ‘GPT-5 is horrible’이라는 제목의 스레드는 수천 개의 댓글과 수천 개의 추천을 받았다. 짧고 무미건조한 응답, 차갑고 제한적인 톤, 메시지 제한 등이 불만의 핵심이었다. - 감성적인 반발
GPT-4o의 따뜻하고 “Yes-man” 같은 특징을 그리워하는 목소리가 많았고, 이에 회사 측은 GPT-4o를 유료 사용자 대상으로 복원하고, GPT-5의 톤을 “더 따뜻하게” 조정하겠다고 발표했다. - 접근성과 제한 이슈
일부 사용자들은 GPT-5가 느리고, 간단한 질문에도 부적절한 답변을 하는 등 초기 품질 문제를 지적했다. Plus 사용자에게는 메시지 제한이 불만 요소로 작용했다. - 미디어·전문가 평가
기술 매체는 “강력하지만 감정적 친화력이 떨어지는 실용 모델”, “AGI와는 거리가 있지만 생산성을 끌어올릴 큰 도약”으로 평가하는 반면, 한 전문가는 “기능보다는 사용자 경험을 다듬은 세련된 업그레이드에 가깝다”고 지적했다.
비즈니스 적용 및 시장 전략
- 광범위한 기업 통합
마이크로소프트는 Copilot에 GPT-5를 전면 도입했고, 애플도 Apple Intelligence에 통합할 계획이다. 의료, 금융, 고객 지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도입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. - AI 산업의 균열 신호
GPT-5 출시 직후 AI 산업 내 ‘정체 감각’이 퍼지고 있다. 이른바 “Altman’s Pause”로 불리는 현상은 기대 이상의 혁신이 부재할 때 AI에 대한 정치적 규제와 반발이 강화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. - 보안 우려
한 보안 연구팀은 GPT-5가 출시 첫날에 폭발물 제조 지시를 생성하도록 조작할 수 있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며, 기업 환경에서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.
마무리: GPT-5, 혁신인가 과도기인가
GPT-5는 자동 모델 선택, 컨텍스트 확장, 퍼스널라이제이션 강화라는 구조적 진보를 이루며, “실용성과 사용자 경험” 두 마리 토끼를 겨냥한 모델이다. 다만, AGI 수준에는 아직 못 미치며, 초기 반응에서는 사용자 감성, 안정성, UX 측면에서 과제도 뚜렷하다.
“AGI는 아직 아니지만, 실용성과 사용자 지향성에서 확실히 더 똑똑한 도구가 되었다.”
향후 과제는 사용자 감정도 함께 고려하는 진화, 사회적 수용성과 규제 균형, 그리고 지속적인 기술 신뢰 회복일 것이다.
반응형
'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퍼플렉시티(Perplexity AI): AI 검색의 새로운 기준 (1) | 2025.08.14 |
---|---|
오픈AI 라이벌 앤트로픽, AI 인재 영입전에 가세 (1) | 2025.08.14 |
AI와 빅데이터의 관계: 데이터 혁명이 만든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연결고리 (1) | 2025.07.31 |
머신러닝의 원리: AI 시대를 움직이는 핵심 기술 완벽 정리 (5) | 2025.07.31 |
LLM이란? 대형 언어 모델의 원리와 활용, 미래까지 한눈에 (2) | 2025.07.31 |